-
리눅스 기본 정보linux/centOS 2018. 6. 2. 23:08
☆ 리눅스 명령어 형식
# ls -l /var
# : 쉘 프롬프트
ls : 명령어
-l : 옵션
/var : 인자
* '명령어' 형식을 사용하는 경우
# ls
# cal
# uname
* '명령어 + 옵션' 형식을 사용하는 경우
# uname -a
# ls -l
* '명령어 + 인자' 형식을 사용하는 경우
# ls /var
# cal 2002
* '명령어 + 옵션 + 인자' 형식을 사용하는 경우
# ls -l /var
☆ 도움말과 암호변경
man : 메뉴얼 페이지 확인, 명령어의 help 옵션과 비슷하다.
(명령어 형식)
# man ls // 명령어나 파일의 이름으로 검색하는 경우
# man -k calendar // keyword로 검색하는 경우 (명령어를 알지 못하는 경우)
# man 1 passwd // section번호로 검색하는 경우
* 섹션별로 검색할 경우
# what is passwd
결과
passwd (1) - update a user's authentication tokens(s)
passwd (5) - password file
passwd (5) - 패스워드 파일
passwd (rpm) - The passwd utility for setting/changing passwords using PAM
passwd [sslpasswd] (1ssl) - compute password hashes
passwd.nntp [passwd] (5) - passwords for connecting to remote NNTP servers
* 추가적인 정보 확인 명령어
# info ls
# pinfo ls
[정보 확인 후 나가고 싶을때는 q를 눌러주면 원래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다.]
☆ 비밀번호 변경하기
passwd : 비밀번호 변경하기
* 암호 변경 권한 차이
root 사용자 : 모든 사용자의 암호를 변경 가능
일반 사용자 : 자신의 암호만 변경 가능
* 암호 변경시 이전 암호 입력 여부
root 사용자 : 암호 변경시 이전 암호 물어보지 않고 변경 가능
일반 사용자 : 이전 암호를 반드시 맞추어야만 새로운 암호 입력 가능
[명령어 형식]
# passwd
# passwd 사용자id
* 관리자가 자신의 암호 변경하는 경우
# passwd
결과
Changing password for user root.
New UNIX password: (user1)
BAD PASSWORD: it is based on a dictionary word
Retype new UNIX password: (user1)
passwd: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
# passwd root
Changing password for user root.
New UNIX password: (centos)
BAD PASSWORD: it is based on a dictionary word
Retype new UNIX password: (centos)
passwd: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
# passwd fedora
Changing password for user fedora.
New UNIX password: (123user)
BAD PASSWORD: it is based on a dictionary word
Retype new UNIX password: (123user)
passwd: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
* 일반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
$ passwd
결과
Changing password for user fedora.
Changing password for fedora
(current) UNIX password: (123user) /* 이전 비밀번호 확인 */
New UNIX password: (acbd1324) /* 새로운 비빌번호 입력 */
Retype new UNIX password: (acbd1324)
passwd: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
☆ 사용자 id 확인하기
$ id
결과
uid=500(fedora) gid=500(fedora) groups=500(fedora)
☆ 시스템 기본 정보 확인
* uname 명령어 // 시스템 정보를 출력한다.
# uname -a
옵션 :
-m, --machine 머신(하드웨어) 타입을 출력한다.
) -->
-n, --nodename 머신의 네트웍 노드 호스트명을 출력한다.
) -->
-r, --release 운영체제 릴리즈 넘버를 출력한다.
) -->
-s, --sysname 운영체제의 이름을 출력한다.
) -->
-v 운영체제의 버전을 출력한다.
) -->
-p 프로세스 종류를 출력한다.
-i 머신 아키텍쳐 (예 : i386)
) --> -a, --all 위 모든 정보를 출력한다.
ex) uname -a
결과
Linux linux200 2.6.18-164.el5 #1 SMP Thu Sep 3 03:33:56 EDT 2009 i686 athlon i386 GNU/Linux
* uname 명령어를 사용하는 경우
운영체제의 종류와 버전 확인
커널 버전 확인
# cat /etc/redhat-release
결과
CentOS release 5.11 (Final)
* date 명령어
# date // 시스템 시간과 날짜를 출력, 설정한다.
# date + %m%d
) -->
root 사용자 : 현재 시간을 설정 및 확인 할 수 있다.
일반 사용자 : 현재 시간만 확인 할 수 있다. (즉, 관리자가 아니면 시간을 변경 할 수 없다.)
) -->
date를 이용해서 시간을 확인한다. 만약 시간이 잘못 설정되어 있으면 date나 rdate명령어를 통해 시간을 재설정 해준다. 이때 rdate명령어를 사용하는 경우 서버로부터 시간을 동기화하여 사용 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시간을 정확하게 설정 할 수 있다.
) -->
# rdate -p time.bora.net /* -p : peer, 서버의 시간 확인 */
# rdate -s time.bora.net /* -s : setting, 서버로 부터 시간 동기화 */
) -->
* cal 명령어
# cal // 달력 출력
cal 명령은 간단한 달력을 보여준다. 아무런 명령행 인자가 없으면, 시스템의
현재 달을 보여준다.
옵션 :
-j 율리우스력(구태양력)으로 출력.
-y 현재 년도 모든 달을 모두 보여준다.
# cal 2002
# cal 6 2002
'linux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렉토리 파일 관리4 (0) 2018.06.06 디렉토리 파일 관리3 (0) 2018.06.05 디렉토리 파일 관리2 (0) 2018.06.02 디렉토리 파일 관리1 (0) 2018.06.02 리눅스 기초(환경 설정 (0) 2018.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