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
사용자 그룹 관리linux/centOS 2018. 7. 4. 11:42
☆ 사용자 관리 (1) 사용자 정보 파일 /etc/passwd 사용자의 기본적인 정보가 저장된 파일 /etc/shadow 사용자의 암호가 저장된 파일 # cat /etc/passwd | grep root root:x:0:0:root:/root:/bin/bash (/etc/passwd 파일의 필드 해석) 필드 설 명 root 사용자 이름 x 사용자 암호(보안상 /etc/shadow 파일에 암호를 옮겨 놓았음) 0 사용자 아이디(UID) 0 그룹 아이디(GID), 사용자의 주 그룹(Primary Group) root 설명 정보(Comment) /root 홈 디렉토리 /bin/bash 로그인 쉘 # cat /etc/shadow | grep root root:$1$z0vZjMTK$pp5tRxbS9k9CWhimj..
-
리눅스 부팅 과정linux/centOS 2018. 7. 3. 11:35
☆ 리눅스 부팅 과정 ■ 1 단계 :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단계 ■ 2 단계 : 부트 로드(Boot Loader) 단계 ■ 3 단계 : 커널(Kernel) 단계 ■ 4 단계 : Init 단계 0 단계 : 전원 스위치 ON 단계 시스템 전원공급 메인보드의 ROM-BIOS에 있는 BIOS프로그램 자동실행 한다. BIOS 프로그램은 전원공급과 함께 메모리의 특정번지(예:FFFF0H)에 자동 로드된다. CPU는 전원공급과 함께 특정번지(예:FFFF0H)의 BIOS프로그램(명령들)을 자동실행 한다 [참고] BIOS(Basic Input/Output System)란? 기본 입출력 프로그램. BIOS는 컴퓨터를 처음 켤 때부터 끌 때까지 시스템에 설치된 주변기기들에 대한 제어와 오..
-
소프트웨어 관리 2linux/centOS 2018. 7. 2. 12:12
☆ YUM(Yellowdog Update Manager, Yellowdog Update Modified) 기존의 rpm의 경우 wget을 이용하여 rpm패키지가 저장된 서버의 주소를 모두 입력하고 rpm -i옵션을 이용해 패키지 를 성치해야만 했다. 그러나 yum은 rpm패키지가 저장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하고 설치하고자 하는 패키지를 다운 로드하여 설치한다. 또한 의존성을 가지는 다른 rpm패키지까지 알아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며 rpm 패키지들을 안전 하게 설치, 삭제 및 업데이트를 한다. yum은 rpm에 비해 이미 설치되었거나 혹은 저장소에 설치 가능한 패키지에 관한 정보를 효율적이고 쉽게 검색 할 수 있고, 일일이 수동 업그레이드를 할 필요가 없으므로 많은 시스템을 관리 할 때 더더욱 유용하게 쓰..
-
소프트웨어 관리 1linux/centOS 2018. 6. 29. 11:43
☆ RPM(Redhat Package Manager) RPM(Redhat Package Manager)이란 Redhat사에서 패키지를 좀 더 쉽게 설치하고 관리하기 위해 만든 패키지 관리 프 로그램이다. 복잡한 컴파일 과정 없이 간단하게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사용자에게 맞는 다양한 옵션들은 설정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이다. 그래서 간단한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RPM으로 설치하고 서버와 같은 중요한 프로그램은 소스를 컴파일 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다.rpm명령어는 rpm패키지를 설치하고 삭제 또는 관 리하는 명령어이다. (명령어 형식) # rpm [옵션] 질의 옵션 (-q 또는 --query 옵션과 함께 사용): -c, --configfiles 모든 설정 파일을 나열합니다 -d, --..
-
SWAP 관리linux/centOS 2018. 6. 27. 11:32
☆ swap 이란? 디스크내에 존재하는 가상적인 메모리 공간, 물리적인 메모리(RAM) 연장 공간처럼 쓰이는 공간 스왑(SWAP)은 메모리 내의 데이터 페이지 또는 세그먼트를 교체하는 것이다. 스왑핑은 컴퓨터가 주기억장치보다 더 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파일을 다룰 수 있게 하는 유용한 테크닉이다. 운영체계는 주기억장치 내에 가능한 한 많 은 데이터를 복사해 넣고, 나머지는 디스크 상에 남겨둔다. 운영체계가 디스크에 있는 데이터를 필요로할 때, 주기 억장치 내의 데이터 일부를 디스크 상의 데이터와 교체한다. DOS는 스왑핑을 수행하지 않지만, OS/2, 윈도우, 유닉 스 등을 포함한 많은 운영체계들이 스왑핑을 수행한다. 스왑핑은 때로, 페이징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 스왑 관련 이슈(SWAP Issue)?..
-
RAID 관리linux/centOS 2018. 6. 26. 11:32
☆ RAID 관리 RAID(Redu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Redudant Array of Independant Disks)? 여러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신뢰성을 높이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장 장치를 말한다. RAID의 종류는 크게 하드웨어 RAID와 소프트웨어 RAID가 있다. 하드웨어 RAID는 안정성이 높은 반면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고, 소프트웨어 RAID는 신뢰성이나 속도가 하드웨어 RAID에 비해 떨어질 수 있으나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는 하드웨어 RAID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기로 하고, 소프트웨어 RAID 구성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1) RAID 종류 ■ Hardware RAID(Fi..
-
LVM 생성 및 관리linux/centOS 2018. 6. 22. 16:20
☆ LVM이란? : LVM(Logical Volume Manage)는 물리적인 디스크를 논리적 볼륨그룹으로 구성해서 이 논리적인 볼륨그룹 내에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 만큼의 논리볼륨을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인 볼륨그룹(VG)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각 논리볼륨(LV)는 독립적이므로, 하나의 디스크에도 여러 가지의 파일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의 용량증설이 요구 될 경우에도 볼륨그룹에 물리볼륨(PV)만 추가하여 용량증설이 가능하고, 데이터량이 감소하여 더 이상 많은 양의 저장공간이 필요 없는 경우, 볼륨그룹에 속한 물리볼륨 개수를 축소하여 용량 감소가 가능하다. 가상 볼륨 방식 장점: (ㄱ) 확장성, (ㄴ) 안정성, (ㄷ) 편의성(관리 용이) ☆ LVM ..
-
마운트 관리linux/centOS 2018. 6. 21. 17:59
☆ 마운트 확인 장치(Devic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마운트 과정을 거쳐야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다 사용한 자원은 언마운트(Umount)하면 된다. 마운트 되어진 장치를 누군가 사용한다면 기본적으로 언마운트 되지 않는다. 부팅시에 마운트 해야 하는 자원(예: 장치)이 존재한다면 /etc/fstab 파일을 사용하면 된다. 현재 자원(Resource)를 마운트 하기 위해서는 mount 명령어를 수행하고, 부팅시에 마운트 할 자원이 있다면 /etc/fstab 파일에 정의하여 사용하면 된다. mount 명령어에 의해서 수행되는 자원 마운트는 현재 쓰이기는 하지만 mount 명령어를 통해서만 마운트가 된 경우, 부팅시에는 마운트가 되지 않기 때문에 /etc/fstab 파일에도 반드시 정의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