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장 장치, 파일 시스템, raid윈도우 서버 수업 내용 간단 정리 2018. 7. 16. 11:29
※ 윈도우에 폴더 및 파일에 암호 걸어서 사용하기
폴더 및 파일에서 오른쪽 클릭 -> 속성 -> 고급 -> 데이터 보호를 위해 내용을 암호화 체크 한 후 확인 ->
확인을 한 번 더 누르면 암호화 경고창이 뜸 -> 파일만 암호화 할건지 폴더까지 암호화 할건지 선택 ->
암호화 완료 됨. 암호화 한 계정 외에는 아무도 못 봄암호화 인증서를 백업하기
작업표시줄 트레이창에서 파일 시스템 암호화를 선택 -> 지금 백업(권장) 선택 -> 다음 -> 다음 -> 암호에 체크하고
암호 입력 -> 저장할 위치 설정 후 다음 -> 마침
※ 네트워크 파일 및 프린터 공유프린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print spooler가 실행 되어야 한다.
파일 공유를 위해서는 workstation이 실행되어야 한다.서비스 항목 중 computer browser를 실행시켜주면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의 목록을 업데이트 하고 관리한다.
※ iSCSI
nas장치를 이용해서 san처럼 block단위의 데이터를 제공해서 디스크 단위로 보여지게 할 수 있다.
nas장치는 file 형태로도 제공 가능하고 iSCSI를 이용하면 block 형태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아직까지는 속도가 떨어진다.
※ 리눅스에서는 UID와 GID로 접근 권한을 설정 하지만 윈도우는 SID(user id)로 접근 권한을 제한한다.
IDE와 SATA 장치
IDE는 2장의 디스크를 E-IDE는 4장의 디스크를 장착할 수 있다.
(IEEE ATA = IDE)
Serial ATA = SATA기능 개선
IDE --> S-ATA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SCSI --> SA-SCSI(SAS)NL-SAS : SATA disk와 SAS disk 둘 다 장착할 수 있음. 순수 SAS보다는 느림
MBR : 첫 섹터(512Byte)에 부팅정보와 파티션 정보가 들어 있음 (대용량 디스크 지원 안됨)
GPT : 파티션정보가 512Byte 안에 들어가는게 아니라 1M 안에 넣게 되어 큰 디스크를 지원하게 된다.
MB -> GB -> TB -> PB -> EB -> ZB -> YB
현재는 대부분의 운영체제가 EB까지 지원 된다.Windows의 파일 시스템 발전 순서
FAT -> FAT32 -> NTFS -> ReFS(Resilient File System)※ ReFS의 특징
1. NTFS의 장점과 호환성을 최대한 유지한다.
2. 데이터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수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3. 데이터가 손상된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최대한 복구한다.
즉, 온라인상에서 작업이 진행된다.
4. 대용량 볼륨 및 크기를 지원한다.ReFS의 가장 큰 특징은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안정성이 상당히 높아지며, 성능이나 최대 지원 디스크/파일
크기가 NTFS에 비해서 개선된 것으로 보면 된다. 단, windows server 2012에서는 ReFS로 포맷된 디스크는
부팅이 지원되지 않기에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없다.
※ RAID0 (스트라이프) 안정성↓ 성능(R/W)↑ 디스크 사용효율↑
1 (미러링) 안정성↑ 성능(R/W)↓ 디스크 사용효율↓
5 안정성↑ 성능(R/W) 디스크 사용효율
(미러링보다는 떨어짐)
(성능은 Read인지 Write인지에 따라 달라지지만 공통적으로는 장애 발생시 성능이 떨어질 수 있음
(패리티비트가 한개만 저장되어 있어서 disk가 1장 고장나면 복구 가능하지만
2장 고장나면 복구 불가이다.)
-----------------------------------------------------
6 raid5번의 단점이 패리티비트가 1개인걸 보완한 방식. 패리티비트가 2개이다.
7 패리티만 관장하는 컨트롤러가 있다.
이중에서 가격이 가장 비싸다.
-----------------------------------------------------
1+0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윈도우 서버 수업 내용 간단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일 서버, dhcp (0) 2018.07.16 dns, hosts (0) 2018.07.16 저장소 풀, 스토리지, 백업 (0) 2018.07.16 명령어 커맨드명 (0) 2018.07.16 실습 환경 구성 및 초기 셋팅 (0) 2018.07.16